Threaded Binary tree and Morris Traversal
이번에는 Threaded Binary Tree와 Morris Traversal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 Threaded Binary Tree는 Recursive Binary Tree Traversal 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된 DataStructure입니다 . Morris Traversal은 Threaded Binary Tree의 idea를 이용해서 나온 binary tree traversal algorhithm 입니다. Recursive BinaryTree Traversal의 한계점이 무엇이며 ,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떤 idae를 썻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Recursive Binary Traversal ‘s Issue
using stack in worst O(n)
Recursive Algorithm을 사용하게 되면 python 기준 새로운 stackframe가 namespace가 생성이 됩니다 . 그리고 , 이 새로운 stackframe에 name이 bind 됩니다.
만약, binary tree가 완벽한(perfect) binary tree라면 tree의 높이는\(O(\log n)\) 이 나올 것입니다. 따라서, 최소 \(O(\log n)\) 의 stackframe이 생성이 될것입니다.
만약에 binary tree 가 치우쳐져(skewed) 있다면 , tree 의 높이는 \(O(n)\) 가 될 것입니다. 따라서 , stackframe은 최악의 경우(worst case) \(O(n)\) 개수 만큼 생성 될 것입니다. Stackframe 생성에 제한이 있는 environment 라면, 상당히 큰 이슈가 될 것입니다.
waste space
binary tree 의 properties 중 null link 는 \(n + 1\) 개라는 성질이 있습니다. 이를 간단히 증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node의 개수가 n개라면 pointer의 개수가 2n 개임은 자명하다. n-1개의 incoming edges를 가지고 있다. 따라서 ,null pointer의 개수는 2n - (n-1) = n+ 1이다.
leaf node는 left pointer, right pointer 가 null value를 가리키고 있습니다. 즉 , 이 공간은 낭비되고(wasted) 있습니다. node를 struct 혹은 class로 구현한다고 가정했을때 , \(n+1\) 만큼의 bit 가 낭비되고 있는 것입니다.
algorithm works in only root
Tree Traversal 알고리즘은 아주 큰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 바로 , Root에서 시작을 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, Inorder Traversal을 할 때 , 왼쪽 subtree의 root 에서 부터 시작을 하면 , 오른쪽 subtree 의 root를 탐색할 방법이 없습니다. 오른쪽 subtree를 가리키는 pointer가 없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,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.
TBT(Threaded Binary Tree)
Threaded Binary Tree, 즉 TBT는 stack frame을 사용하지 않고 , space wasted 를 해결하고 , root가 아니더라도 traversal이 가능하게끔
하자는 motivation 에서 나왔습니다.
Threaded Binary tree의 간단한 defintion은 아래와 같습니다.
left null link -> pointing preceeder
right null link -> pointing suceeder
except), leftmost null link , rightmost null link
놀랍게도 , 간단하게 위 세 줄을 정의한 것으로 위 3가지의 문제점이 모두 해결이 됩니다.
null link를 leftmost, rightmost 노드를 제외하고 preceeder ,suceeder node를 가리키게 함으로 , 공간의 낭비가 사라집니다. 다음에 , 어떤 노드로 갈지(suceeder)를 알기에 , stack으로 state를 복원해줄 필요가 없습니다. 따라서, stack이 필요가 없습니다.
Inorder Traversal의 simulation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(Inorder Traversal은 안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)
먼저 , left subtree 를 pointer를 통해 찾아가면서 A를 방문하게 됩니다. ans : a
그 다음에 , right pointer가 B를 가리키기에 B를 방문합니다. ans : a,b
그 다음에 , 다시 알고리즘을 반복합니다. 현재 , 노드는 E가 됩니다.ans : a, b, c, e
E의 right 가 root이기에 F를 방문합니다. ans : a,b,c,e,f
그 다음에 , right subtree를 방문합니다. ans : a,b,c,e,f , g ,h ,i
TBT Implementation
TBT의 simulation 을 보면 , null link 였던, pointer와 , null link가 아니였던 pointer의 operation이 다릅니다 . 따라서 , null link였는지 아니였는지 추가적인 저장공간을 이용해서 표현해야합니다.
struct TBTnode
{
int value ;
TBTnode * rlink;
TBTnode * llink;
bool r_null ;
bool l_null;
};
// 오랜만에 c 언어 작성했는데, 문법 맞았는지 모르겟네여.. ㅠㅠ
1bit 짜리 2개로 각 rlink , llink가 null 값인지 알려준 다면 , operation을 구별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TBT traversal
TBT traversal은 iterative Indorder 유사합니다.
## psuedocode
## 대충 적은거 같지만 기분탓이다.
while :
1. if l_null is not null :
curr = curr.llink
continue
2. visit root
3. if r_null is not null :
curr = curr.rlink
continue
curr = curr.rlink
iterative 하면서 , stack없이 inorder traversal이 구현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.
TBT analysis
하지만, 이게 항상 완벽한 자료구조는 아닙니다. 아래와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
DisAdvantages
- Insert/Delete operation이 너무 어렵고 복잡하다.
- boolean Value를 위한 extra space가 필요하다.
그렇다면, 이 TBT는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?
When to use it
- Insert/Delete opera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.
- stack space가 제한이 되어 있다.
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, 읽기 전용의 Datastructure라고 느껴졌습니다.
Morris Traversal
위에서 말했듯이 TBT를 construct를 하는 것은 굉장히 까다롭고 어렵습니다. Coding Interview에서 Inorder Traversal을 \(O(n)\) 의 space complexity로 구현하라고 했을 때 , TBT를 construct하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 적입니다. Coding Interview 문제를 푼다고 가정한다면, 이 경우는 Tree를 쓰고 버린다는 전제조건이 깔린 것입니다. 즉, Tree를 Transformation을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.(Tree를 Transformation을 해도 되는지 안되는지 물어는 봐야 할거 같습니다.)
Idea는 간단합니다. 이 tree를 skewed tree로 만드는 것입니다. 대략적인 psuedocode(입코드)는 다음과 같습니다.
1 . go to current left node
2. go to rightmost node , rightmost node right link point to current node
3. curr left link point to null
4 . if left node is null , visit curr node
5 .if left and right all null ,terminate algorithm
위 알고리즘을 무한히 반복하면 stack 없이 inorder traversal의 결과를 얻게 됩니다.
친절하게 그림을 첨부하도록 하겟습니다. 위와 같은 순서로 노드를 방문합니다.
위의 psuedocode 보다 좀더 자세하게 구현한 psuedocode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.
while :
left child exist:
morr <- curr.left
mor <- rightmost(morr)
morr.right -> curr
curr <- curr.left
morr->right->left -> curr
left child none and right is not NOne:
ans <- curr
curr <- curr.right
CodingTest/94. Binary Tree Inorder Traversal3.py at main · woongjoonchoi/CodingTest (github.com)
위의 링크는 제 github인데 leetcode morris traveral 문제를 implementation했습니다. 참고하실분은 참고하시면 됩니다.
Leave a comment